2020. 1. 19 롯데콘서트홀 이보 포고렐리치(Ivo Pogorelić) 피아노 리사이틀

연주회가 시작되기 전 누가 어슬렁 거리며 피아노에 앉더니 들릴 듯 말 듯 피아노를 친다. 조율사인가?? 한참을 그렇게 피아노를 쳤는데 그 사람이 이보 포고렐리치였더.

 

Posted by ile66 :

데이비드 린치 David Lynch (1946.1.20 - 2025.1.15)세상을 떠났다. 평생 흡연 습관으로 인해 폐기종이 생겼고 그로 인해 상당히 힘들어 한 것 같다. 평소 호흡곤란으로 방안을 걸을 때 머리에 비닐 봉지를 두르고 다니는 것 같다고 말했을 정도니 얼마나 그가 골초였는지 알 것 같다. 데이비드 보위도 1월에 세상을 떠났는데 그는 간암이 원인이지만 보위도 알려진 골초였죠. Sight and Sound 인터뷰에서 린치는 자신의 건강 문제의 원인과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흡연은 제가 절대적으로 좋아하는 일이었지만 결국 저를 물었습니다. 저에게는 예술 생활의 일부였습니다. 담배와 그 냄새, 물건에 불을 붙이고 흡연하고 돌아가서 앉아서 담배를 피우고 작품을 보거나 사물에 대해 생각하는 것; 이 세상에는 그렇게 아름다운 것이 없습니다. 그러는 동안, 그것은 저를 죽이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금연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결국 세상을 떠났다. 요즘 78세면 아쉬운 나이라고 생각이 든다. 처음엔 그의 영화를 좋아하지는 않았다. 그를 생각하면 트윈 픽스를 잊을 수 없는데, 정말 무서웠다. 지금은 거의 잊혀졌지만 트윈 픅스를 뫘을 땐 아주 오랫동안 머리속 어딘가에 잠재하고 있던 공포였다. 어젠 서브스턴스를 극장에서 봤는데 엘리펀드 맨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난 로스트 하이웨이나 멀홀랜드 드라이브가 좋았다. 로스트 하이웨이 사운드 트랙에 데이비드 보위의 I'm Deranged가 나오는 타이틀 시퀀스는 정말 기가막히게 어울린다. 1월에 데이비드가 또 세상을 떠났다. 

Photo: Sandro https://www.sandrofilm.com/

https://youtu.be/aepBpZ3kXek?si=ZtO_a_Pwh80nhXGC

I'm Deranged. David Bowie soundtrack "Lost Highway" 1997

https://youtu.be/nCn3LYqCnrk?si=m7-yDN1hXTx75Xc2

Twin Peaks Theme

 

 

Posted by ile66 :

인터넷을 보다 바로 구매하게 된 보그 2025년 2월호. 표지가...오랜만에 죽이는 사진이다.

이런 패션 잡지를 남자 때문에 구매하다니... 사진은 김희준이다. 역시!

Posted by ile66 :

이 두 사람은 전장의 크리스마스 Merry Christmas Mr. Lawrence에서 만나 같이 연기를 했다. 류이치 사카모토는 음악 감독을 맡기도 했다. 그리곤 두 사람은 죽을 때까지 서로 만나는 일이 없었다고 한다. 두 사람이 만나기를 바라는 건 내 마음뿐이었나? 어쩌면 너무도 비슷해서 서로 만나게 되지 않았을 수 있다. 데이비드 보위는 1947년 생이고 2016년에 69세로 자기만의 별로 먼저 떠났고 류이치 사카모토는 1952년 생이고 2023년에 71세로 세상을 떠났다. 그들은 인생도 너무 비슷했다. 죽기 전까지 음악을 만들다 떠났다. 죽음을 앞에 두고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 싶다. 아마도 두 사람은 분명히 만났을 것이다. 그곳에서도 계속 좋은 음악 만들어 주세요. 

David Bowie (1947. 1. 8 - 2016. 1. 10) 69세로 떠났고 Ryuichi Sakamoto (1952. 1. 17 - 2023. 3. 28) 71세로 떠났다.

”뉴욕에 살 때 데이비드 보위와 다시 만나지 못한 것이 후회로 남는다“ ㅡ 류이치 사카모토

https://youtu.be/akS1FrEkPzI?si=3Ho7SR9uNAIX7SJm

Merry Christmas Mr Lawrence (1983) Kissing the Enemy.

festival de Cannes, 1983
사진이 너무 좋아 한번 만들어 봤다.

데이비드 보위가 떠나고 난 2017년 일본에서 그의 전시 'David Bowie is'를 일본에서 봤다. 류이치 사카모토가 떠난 후엔 극장에서 'OPUS'를 봤다. 실은 류이치 사카모토는 2018년에 피크닉에서 대규모로 그의 모든 것을 조망하는 전시가 있었다. 룹씨와 함께 전시를 봤는데 그땐 살아계셔서 지금보다 덜 소중하게 전시를 봤었다.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되었다. 두 분 모두 만들어 놓은 음악에 감사합니다. 아랜 류이치 사카모토의 피크닉에서 전시였던 RYUICHI SAKAMOTO : LIFE,LIFE에서 찍은 사진이다.

저러고 다닌다 ㅠㅠ
룹씨

 

RYUICHI SAKAMOTO : LIFE,LIFE 전시에서 - 굉장히 실험적이어서 당시엔 잘 이해를 못했다. 나중에 그의 다큐 필름을 보고 조금씩 이해를 하게 되었다. 그는 정말로 소리를 사랑한 사람이었다. 그의 음악을 잘 이해 못할 때 andata를 듣고 소름이 끼칠 만큼 감동을 받았고 아주 조금 그의 음악을 이해하게 되었다.

https://youtu.be/8naZALMglpo?si=8CNkeh_u-YzlkbBq

andata

 

Posted by ile66 :

"나는 내 그림들 이외는 자식이 없다." 매번 전시회를 가면 사람을 피해 사진을 찍지 않는다. 사람이 많기도 하고 사람이 있는 사진이 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The yellow log, 1912

작년에 본 전시중에 기억이 남는 전시는 뭉크의 전시였다. 뭉크는 알수록 매력적인 화가다. 그림의 폭이 매우 넓고 다양하다. 난 그가 그린 풍경도 좋아한다. 그의 인생이 어두웠던 것은 사실이지만 의외로 뭉크는 다작을 한 화가이고 카메라를 사용하여 셀카(1908-9년 경)도 찍는 그런 사람이다. 아래 사진은 '마라의 죽음'이라고 한 것을 보니 자크 루이 다비드의 작품을 생각하며 촬영한 것 같다. 이분은 요즘 태어나셨다면 SNS열심히 하셨을 것 같다. (뭉크의 카메라를 정리한 웹사이트 https://the-experimental-self.munchmuseet.no/munchs-kameraer )

 

Edvard Munch, Self-Portrait ‘à la Marat,’ Beside a Bathtub at Dr. Jacobson’s Clinic, 1908-09 Courtesy of Munch Museum
Edvard Munch, Self-Portrait Wearing Glasses and Seated Before Two Watercolors at Ekely, ca. 1930 Courtesy of Munch Museum
Edvard  Munch - Vampire Mermaid, 1893-1896
The Brooch. Eva Mudocci, 1903 ( 에바 무도치 Eva Mudocci 는 영국의 바이올리니스트였다. )
Edvard  Munch - Sick Child
Munch - Evening Mood, 1932–1934

전시 작품들 다 좋았는데 특별히 마음에 들었던 작품이다.

Posted by ile66 :

데이비드 보위가 세상을 떠난 지 벌써 9년이 되었다. 블랙스타 시디를 구매하고 뜯지도 않았는데 그의 사망 소식을 들었었다. 사망이라기 보다 잠시 여기를 떠난게 맞는 것 같다. 나도 오래 있지는 못할테니까. 그래도 당시엔 많이 슬펐다. 특히 그가 떠나기 전 자신의 암을 대중에게 알리지 않고 새 앨범 작업을 하고 뮤지컬을 준비했다. 죽는 순간까지 그랬다. 두려워 할 수도 원망할 수도 있었지만 그렇게 자신이 계획한 음악을 끝까지 만들어 갔다. 2023년 역시 세상을 잠시 떠난 류이치 사카모토도 죽는 순간까지 음악과 영상을 남겼다. 참 대단한 사람들이다. 류이치 사카모토는 떠나기 전 자신의 오케스트라 음악을 들으며 감정이 복받치는 듯 울먹이는 영상을 봤는데 정말 마음이 아팠다. 어쨋든 죽음을 맞이하는 모습이 다른 것 같다. 물론 보위의 마음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지금도 그의 음악이 나오고 새로운 녹음들이 가끔 나올 때면 보위는 우리의 곁을 절대 떠날 수 없는 것 같다.

https://youtu.be/C7l3y7LOzLc?si=89CWdd8y6iWxjb6g

2016년 1월 10일 데이비드 보위가 세상을 떠났다. 보위는 어디론가 떠난게 맞다.
2017년 1월에 일본으로 데이비드 보위의 전시인 "David Bowie is"를 보러 갔다. 입장하기 전에 입구에서 보위의 노래 jean genie를 들으며.

한 사람의 인생을 이렇게 모아서 볼 수 있다니....보위의 대단함은 당연하고 보위의 모든 인생을 이렇게 모아서 보여 줄 수 있다니 놀라울 뿐이다. 보위가 베를린에 거주할 때 방 열쇠까지 있었다. 지금도 전시의 마지막 방에서 영상과 함께 본 Rock 'n' Roll Suicide 는 그때의 기분을 그대로 느끼게 해준다. 이 노래가 나올 때 그 방엔 앉거나 벽에 기대서 영상을 보는 사람들이 아무말도 하지않고 넋을 놓고 그 화면을 보고 있었다. 우린 다 같은 걸 느끼고 있었다.

https://youtu.be/lJQf-gcG-g4?si=guY2w-k7N-cId-xT

David Bowie - Rock ‘N’ Roll Suicide (Live at Hammersmith Odeon, London 1973) 

 

Posted by ile66 :

빌 에반스의 앨범도 끝이 없다. 유튜브로 일본 킷사텐을 주로 다루는 채널을 보다가 위 앨범을 보고 듣고 보니 없는 앨범이라 인터넷을 뒤지니 희안하게 예전 중고판(2009.US)을 을 찾을 수 있었다. 요즘 찍어 내는 노랗고 투명한 LP보다 중고지만 검은색 판으로 되도록이면 오리지널에 가까운 음반을 찾으려고 한다.

Posted by ile66 :

Valerie Carter

2025. 1. 8. 16:40 from 사소한 풍경들

유튜브로 일본 킷사텐 카페 관련 영상을 보다가 레코드 가게에 걸려 있는 Wild Child 앨범 커버에 반해 찾아보니 발레리 카터란 가수였다. 검색하니 엘피가 있길래 바로 구매했다. 다른 앨범은 시디도 있던데 이 앨범은 검색해도 없다. 아마존에 있지만 엘피는 10만원이 넘는 가격이다. 난 중고로 3만5천원에 구매했다. 음반 상태가 아주 좋지는 않지만 멋진 앨범 커버만으로도 만족한다.

아래 사진은 Françoise Hardy 닮았다.

발레리 카터의 홈페이지 https://www.valeriecarter.com(위 사진클릭)
제임스 테일러와 찍은 사진이다. 앞줄 왼쪽 금발머리 여성이 발레리 카터. 그녀가 참여한 가수들을 나열하자면 아론 네빌, 앤 머레이, 크리스토퍼 크로스, 댄 포겔버그, 다이아나 로스, 돈 헨리, 에릭 카멘, 글렌 프레이, 잭슨 브라운, 제임스 테일러, 린다 론스타드, 닐 다이아몬드, 로드 스튜어트 등(대충 아는 이름만) 엄청난 백 보컬이었던 것 같다. 우연히 일본 킷사텐 카페 영상을 보다가 레코드 가게에 걸려 있는 Wild Child 앨범 커버를 보고 궁금해 찾아 보다가 결국 엘피를 사게 되었다. 앨범 커버의 사진이 너무 아름다워서 눈에 띄긴 했지만 음악을 들어보니 너무 좋았다. 약간 리키 리 존스가 생각나는 목소린데 세련된 연주에 곡들이 심상치 않아 찾아보니 드럼에 제프 포카로...기타에 스티브 루카서, 레이 파커 주니어 등등 다 열거 안해도 될 이름들이다. 우연히 알게 된 가수라고 하기엔 미안할 정도로 실력있는 아티스트였다. 스튜디오 정규 앨범만 8장이다. 2017년 심장마비로 64세에 사망했다. 스티브 윈우드와 잭슨 브라운이 그녀에 관한 노래를 만들었다고 한다. 좀 더 알고 싶지만 아직까진 인터넷에 그녀의 정보가 별로 없다.

 

Posted by ile66 :

필름사진

2025. 1. 6. 22:15 from 사소한 풍경들

뭘로 찍었는지 기억이 안나지만 일포드 델타400 필름이다.

Posted by ile66 :

아침 7시 학교

2025. 1. 5. 14:45 from 사소한 풍경들

오전 9시 수업이지만 막히는 게 싫어 집에서 오전 6시 전에 출발해서 7시 10분쯤 도착한다. 차에서 도시락을 먹고 교실로 가면 7시 40분쯤인데 워낙 준비해야 할 일이 많아서 준비가 끝나면 8시쯤이다. 위 사진은 라이트룸 카메라 프로모드로 찍고 몇 가지 보정을 했다.

 

Posted by ile66 :